저는 15년 전에 위암수술로 위아전절제술을 받은 적인 있는 강남구에 거주하는 71세 남성입니다.
2025년 5월 16일 건강검진에서 복부CT 촬영 결과 담낭에 2센티 크기의 돌과 담관에 0.8센티
크기의 돌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ERCP를 권유받았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아무런 통증도 증상도 없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ERPC라는 수술법은 대학병원이 아니라도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 수술여부가 좀 망설립니다.
CT촬영 필름은 저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건강검진 병원에서 알려준 병증입니다.
[CT 결과]
s/p Subtotal gastrectomy c BI recontruction.
0.8 cm sized CBD(Common Bile Duct) stone and 2 cm sized GB(Gallbladder) stone. -> Rec) ERCP
Focal wall thickening at GB fundus -> R/O Focal adenomyomatosis of GB
Small Lt renal cysts.
No intraabdominal LAP or ascites.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윤 원장입니다.
위의 2/3을 절제하는 과정에서 담낭의 수축을 담당하는 신경도 잘리게 되어
담낭 수축력의 저하로 담석이 잘 생기고 환자분은 담석이 담낭을 넘어 담도까지 빠진 상황입니다.
이는 방치할 경우 간, 췌장이 망가지게 되기에 꼭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치료는 대학병원만 가능 합니다.
그리고 빠른 치료가 필요 합니다.
'온라인상담 > 담석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치 부분이 긁듯이 또는 쥐어 짜듯이 아프고 등짝도 아프기도 한데, 심할 때는 새벽에 아파서 깹니다. (1) | 2025.07.01 |
---|---|
현재 미국에 있는데 한국을 방문하여 담낭 제거 수술을 받고자 합니다. (0) | 2025.06.30 |
중국 칭다오에 거주하고 있구요. 큰애가 04년생인데 복부 통증으로 응급실 가서 ct 촬영 결과 7mm 가량 담석이 담낭내에 있다고... (0) | 2025.06.28 |
수술 전부터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있어서 양배추즙을 먹어왔는데 수술하고나서도 양배추즙을 먹어도 되는지... (0) | 2025.06.26 |
강검진을 받다가 담석이 있다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매년 검진을 받으면 다발성이긴 하지만 돌이 1cm는 넘지 않는 것 같으니... (1) | 2025.06.25 |